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식54

청국장으로 건강해지기 요즘 시중에 파는 청국장을 사다 어머니 된장 조금 넣고 같이 끓여 먹으니 아주 맛나서 청국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마트에 파는 청국장에 국산콩으로 만든 것과 수입콩으로 만든 것이 있습니다. 청국장의 유래와 효능을 알아보았습니다.  1. 청국장의 유래청국장은 삶은 콩을 발효시켜 고초균이 생기도록 만든 속성 장류이다. 된장은 발효시켜서 먹기까지 몇 달이 걸리지만 청국장은 담가서 2~3일이면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짧은 기일에 만들 수 있는 장이다. 겨울이되면 어머니께선 늘 된장을 만드셨는 데 콩 삶으랴 메주 만드랴 이만저만 큰일이 아닐 수 없다.  청국장은 그 냄새가 아주 특이하다. 영양가도 높고 소화가 잘 될 뿐 아니라 콩 단백질을 가장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한다. 기록에 조선 .. 2022. 8. 25.
쌍화차 쌍화차는 '기와 혈을 서로 쌍을 이뤄 부족함이 없게 한다'는 뜻이 담겨 있으며 혈기를 왕성하게 하고 근력을 회복시키는 데 탁원한 효능이 있다. 달걀과 함께 먹으면 단백질 보충에 아주 좋다. 시중 판매되는 쌍화차에는 분말, 액상 중에는 설탕이 더 첨가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당뇨가 있는 사람은 재료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몸을 따뜻하게 하는 생강이나 계피가 들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열이 많은 사람은 과잉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쌍화차의 재료로는 백작약, 숙지황, 당귀, 천궁, 계피, 감초가 들어가며, 호두, 잣, 대추를 첨가하며 달걀 노른자도 들어간다. 쌍화차의 검은 색깔은 숙지황때문이다. 쌍화차는 감기 예방과 기력 회복에 도움된다. 70 · 80년대 다방에서 쌍화차에 계란을 띄운 쌍화차가 있었다. 다.. 2022. 8. 22.
매일 컵라면 드시고 96세까지 사신 할아버지 이야기 안도 모모후쿠 할아버지는 세계 최초로 컵라면과 인스턴트 라면을 개발하신 분이라고 한다. 컵라면을 너무 좋아해 평생 동안 하루 한 끼는 컵라면을 드셔서 그 결과 심각한 부작용으로 96세로 사망하셨다는 이야기를 얼마 전 기사에서 보고 심각한 부작용이란 말에 놀라고 그 나이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과연 우리가 몸에 좋다고 이것저것 조심하며 때론 자연식만 고수하는 그 모든 노력과 수고는 무엇이란 말인가 싶기도 하고 뭔가 우리가 잘못 알고 있진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참에 안도 모모후쿠 할아버지 이야기를 찾아보았다. 그는 대만계 일본인이며 1910년 3월5일 출생하여 2007년 1월 5일에 사망하였다. 닛신이란 식품회사의 설립자이다. 요즘 일본 구매대행에 관심 있어 알아보다 라면류에 닛신이란 이름이 .. 2022. 8. 4.
멸치 젓국 2022. 6. 25.멸치젓은  멸치에 소금을 넣어 발효한 요리이다. 멸치젓은 생산량으로 보아 새우젓과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젓갈의 하나이다. 특히 남해안지방에서 많이 담으며 맛도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새우젓에 이어 가장 흔히 소비되는 젓갈이다.   멸치는 대한민국의 남부 바닷가에서 많이 잡힌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 울산, 부산등을 포함하는 남해안 및 동해 지방이 멸치젓의 주산지이다.  4-6월쯤 주로 담근다. 경상남도 거제, 부산광역시 제주의 추자면, 기장의 멸치젓이 특히 유명하다. 육젓은 멸치를 그대로 소금에 절여 발효, 숙성시킨 젓갈이다. 액젓, 육젓, 생젓 세 가지로 나뉜다. 멸치 액젓은 윗물을 체로 거르고 남은 것, 육젓은 액젓을 거르고 남은 건더기, 생젓은 남은 건더기를.. 2022. 6. 29.
누룽지 가마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이다. 일부러 프라이팬에 구워서 만드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어쨌건 대부분은 '밥하다가 생긴 부산물'이다. 전기밥솥이 보급되기 전 가마솥이 대세였던 시절에는 밥을 할 때마다 누룽지가 반드시 생기기 마련인지라 여러 가지 용도로 쓰곤 했다. 대개 가마솥에 눌은 누룽지에다가 물을 넣고 끓여서 숭늉을 만드는 게 일반적이고 누룽지탕 같은 요리에 쓰거나 말려서 보관해뒀다가 과자처럼 먹는 경우도 있었다. 숭늉 끓일 때 밥과 누룽지를 좀 넉넉히 남겨두고 끓인 다음 긁어먹는 것을 따로 눌은밥이라고 한다. 누룽지는 과자가 없던 시절 아이들의 주요 간식거리였다. 누룽지는 배가 고플 때 먹기에도 좋고, 간식으로 먹기도 좋다. 먹어보면 고소하면서도 아주 미묘한 단맛이 느껴져서 좋아하는 사람들은 무척 좋아.. 2022. 6. 26.
쪽파 비짜루 목 수선화과의 향신 채소로 파와 샬럿의 교잡종이다.(샬럿:유럽과 중동권의 식재료이며, 분구형 양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생김새는 양파를 축소시켜 놓은 것과 비슷하고 실제 용도도 양파와 비슷하다. 향기 나 맛은 양파와 마늘을 섞어놓은 듯하다. 그래서 다른 재료로 대체할 시 양파 반개와 마늘 1알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 번역된 레시피에서 양파 반개와 마늘이 동시에 표기되어 있다면 원본이 샬롯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유럽 요리 레시피에서 꼭 한 번쯤은 보게 되는 식재료. 양파에 비해 단맛이 많고 매운맛이 적다. 양파나 마늘에 비해 단단해서 손질할 때 다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란에서는 요구르트에 넣어 먹기도 한다. 대파와의 교잡종이 쪽파라고 한다.) 파와 샬럿의 중간 정도의 맛이 나며 생긴 건 .. 2022. 6. 26.
반응형